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자유포럼
  자유포럼 게시판은 글작성시 포인트 500점을 드립니다. (댓글 100점)   

"조국 지키자" 현해탄 건넜던 청춘들.. 명부 찾아

요벤져 0 6 0 0

9fa5113d1e6df6f90fef61af597414f7_1752248981_0715.webp
 

[리포트]

태극기를 몸에 두른 청년들이 결연한 표정으로 한 곳에 모였습니다.

 

재일학도의용군,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고국을 지키겠다고 자발적으로 모인 재일동포들입니다.

 

군번도 계급도 없이 인천상륙작전과 장진호전투·백마고지전투 등에 뛰어들었고, 재외국민이 참전한 첫 사례로 기록됐습니다.

 

[박운욱(98세)/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장]

"이미 그때는 (북한군이) 낙동강 전선까지 내려왔는데‥ '나라 없는 36년이 또 온다. 뭣 하려고 우리 공부하고 있나. 가서 한번 싸워보자'고‥"

 

현재까지 확인된 참전 의용군은 642명, 하지만 정확한 명단을 몰랐던 탓에 절반인 336명만 국가유공자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재일민단이 운영하는 도쿄의 역사자료관에서 명단 일부가 발견됐습니다.

 

단기 4283년, 즉 1950년 9월 한국방위자원군본부가 작성한 것으로 되어 있는 입대자 명부입니다.

 

초기에 참전한 358명의 이름과 나이는 물론 본적, 즉 고국의 등록기준지와 일본 내 거주지 그리고 소속 대학까지 상세하게 담겼습니다.

 

재일학도의용군이 일본을 떠나기 전 남긴 기록으로 추정됩니다.

 

[김철호/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 사무총장]

"잊혀진 우리들의 영웅들에 대한 역사적인 상징물입니다. 내내 찾으려고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게 여의치가 않았는데‥"

 

국가의 예우가 부족했던 사이, 재일학도의용군 생존자는 이제 아흔여덟 박운욱 할아버지 혼자 남았습니다.

 

[박운욱(98세)/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장]

"최해몽이네‥ 내 친한 친구예요. 최해몽이‥ 해몽이, 내가 왔어."

 

83명은 아직 유해도 찾지 못했습니다.

 

미국이 북한에서 발굴했다 국내로 봉환한 유해가 있지만, 정확한 신원을 알 수 없는 데다 DNA를 대조할 유족도 찾지 못해 임시 안치된 상태입니다.

 

[유동수/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정무위원회)]

"국가를 위해서 희생하신 분들에 대해서, 국가가 마지막 한 분까지 찾아내고 기억하려는 노력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후략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734743_36799.html

0
0
0 Comments
포토 제목
Category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