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1450억→290억 하락' “손흥민 가치 폭락, 한국엔 이강인뿐” 中 날선 분석... 일본에 밀리는 한국 축구 현실화

조아라유 0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OSEN=우충원 기자] "한국, 손흥민을 이을 차세대 스타가 부족하다". 

트랜스퍼마르크트가 발표한 아시아 선수 시장가치 순위에서 일본의 절대적인 우세가 드러났다. 반면 미국 무대로 향한 손흥민(33·LAFC)은 가치 급락세를 면치 못했다.

글로벌 축구 통계 매체 트랜스퍼마르크트는 최근 아시아 출신 선수들의 시장가치 상위 20인을 공개했다. 이번 발표에서 일본 선수들이 무려 16명을 차지하며 아시아 축구의 ‘신흥 강국’ 면모를 보여줬다.

1위는 미토마 가오루(27, 브라이튼). 그는 4500만 유로(650억 원)의 평가를 받으며 독보적 1위에 올랐다. 상위 10명 가운데에도 미토마를 포함해 총 6명의 일본인이 이름을 올렸다.

반면 한국 선수들의 이름은 눈에 띄게 줄었다. 김민재(바이에른 뮌헨)와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손흥민만이 명단에 포함됐다.

소후닷컴은 손흥민의 시장가치 하락에 초점을 맞췄다. 소후닷컴은 “손흥민의 가치는 전성기였던 1억 유로(1450억 원)에서 무려 80% 하락한 2000만 유로(290억 원)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축구의 베테랑 세대가 급감하고 있으며 손흥민을 이을 차세대 스타가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소후닷컴은 “손흥민과 김민재의 시가총액은 최근 3차례 연속 하락했다”며 “일본의 젊은 스타들이 유럽에서 몸값을 올리는 반면 한국은 23세 이하 중 2000만 유로 이상의 가치를 지닌 선수가 단 한 명도 없다. 이강인만이 유일하게 경쟁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일본은 탄탄한 리그 시스템과 풍부한 풀(pool) 자원을 기반으로 세대교체에 성공했지만 한국은 유망주 육성 구조가 한계에 부딪혀 있다”며 “U-23 세대의 성장세가 정체돼 양국의 격차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본의 시장가치는 세대 전환의 결과이기도 하다. 미토마, 도안 리쓰, 구보 다케후사 등은 모두 유럽 빅리그에서 꾸준히 출전 시간을 확보하며 가치를 높였다. 반면 한국은 손흥민과 김민재 이후 새로운 주역의 등장이 더디다는 평가다.

MLS 진출 이후 손흥민의 가치가 일시적으로 하락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지에서는 여전히 ‘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지닌 슈퍼스타로 평가된다. 그러나 트랜스퍼마르크트의 시장가치 기준은 나이, 리그 수준, 잠재적 이적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향후 유럽 복귀 여부에 따라 그의 가치가 다시 반등할 여지는 충분하다.

 

 

우충원 기자

OSEN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