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스포티비뉴스=조용운 기자] 이강인(24, 파리 생제르맹)이 아시아 밖에서 활약한 선수 중 최고로 평가받았다. 더불어 한국 축구의 자존심도 세웠다.
17일(한국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킹 파하드 문화센터에서 열린 아시아축구연맹(AFC) 어워즈 2025 시상식에서 이강인은 일본의 쿠보 다케후사(레알 소시에다드)와 이란의 메흐디 타레미(올림피아코스)를 제치고 '올해의 국제 선수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 상은 AFC 소속국 중 해외 무대에서 한 시즌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어진다. 한국 선수로는 손흥민(로스앤젤레스FC), 김민재(바이에른 뮌헨)에 이어 세 번째로 이 상을 품에 안았다.
그동안 손흥민이 2015년 첫 수상을 시작으로 2017년, 2019년, 2023년 네 차례 상을 받았다. 김민재 역시 2022년 한 차례 수상하며 한국 선수들이 유럽 무대에서 가장 활발한 활약을 펼쳐왔다. 이번 이강인의 수상으로 한국은 통산 여섯 번째 올해의 국제 선수상 트로피를 얻게 됐다. 한국은 이 부문 최다 수상국의 지위를 유지했다.
유럽 시즌이 한창인 관계로 이강인은 시상식 현장에 직접 참석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호명되자 시상식 현장은 큰 박수로 축하를 보냈다. 이강인이 거둔 올 시즌 성과는 아시아 선수 누구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단하다.
2024-25시즌 이강인은 파리 생제르맹에서 전략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팀의 사상 첫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공식전 49경기에서 7골 6도움을 기록하며 루이스 엔리케 감독 체제에서 만능키로 자리 잡았다. 파리 생제르맹은 챔피언스리그를 비롯해 리그앙과 쿠프 드 프랑스(프랑스컵), 트로페 데 샹피옹(슈퍼컵)을 모두 제패하며 4관왕을 달성했다.
이강인의 성장 곡선은 한국 축구의 세대 전환을 상징한다. 손흥민과 김민재가 각각 공격과 수비의 중심이었다면, 이제 이강인은 중원의 지휘자로서 새로운 축을 담당하고 있다.
AFC가 올해 초 발표한 어워즈 후보 명단에서도 그는 한국인 중 유일하게 남자 국제 선수상 후보에 오르며 존재감을 입증했다. 지난해 손흥민, 설영우(츠르베나 즈베즈다), 김혜리(우한 장다), 배준호(스토크 시티), 케이시 페어(엔젤시티) 등 다수의 한국인 후보가 이름을 올렸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이강인 단독 체면치레였을 정도로 줄어든 한국 축구 존재감에 유일한 희망이 됐다.
이번 어워즈는 한국 축구의 현실을 돌아보게도 했다. 남녀 지도자 부문을 포함해 주요 부문 대부분에서 한국 이름을 찾기 어려웠다. 지난해에는 황선홍(현 대전하나시티즌 감독)과 박윤정 여자 U-20 대표팀 감독이 후보로 이름을 올렸지만, 올해는 단 한 명도 명단에 포함되지 못했다.
반면 북한은 남자 감독상 부문에서 두 명의 후보를 배출하며 오히려 두각을 나타냈다. 북한 여자 20세 이하(U-20) 대표팀의 리성호 감독이 자국의 송승권 감독(여자 U-17 대표팀)과 호주의 트레버 모건 감독을 제치고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북한은 지난해 국제축구연맹(FIFA) U-17 여자월드컵과 U-20 여자월드컵을 모두 석권하며 아시아 축구사에 남을 대기록을 썼다.
한편 이날 시상식에서는 살림 알다우사리(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가 '올해의 남자 선수상'을, 다카하시 하나(우라와 레즈 레이디, 일본)가 '올해의 여자 선수상'을 각각 수상했다.
다음드, 가상축구, 라이브맨, 먹튀폴리스, 네임드달팽이, 토토, 해외배당, 총판모집, 프로토, 먹튀검증, 사다리분석, 스코어게임, 네임드, 올스포츠, 알라딘사다리, 로하이, 네임드, 네임드사다리, 슈어맨, 먹튀레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