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KBL
사진제공=KBL
사진제공=KBL
[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창원 LG는 1997년 프로농구 출범 이후 단 한 차례 우승도 없는 팀이다. 출범 원년 팀 중 유일하다.
우승 기회가 있었지만, 번번이 한 끗이 모자랐다. 지난 시즌도 4강에서 좌절했다.
정규리그 2위로 벼르고 별렀던 플레이오프. 하지만, 4강전 5차전 혈투 끝에 수원 KT에 패했다. 충격이 상당히 컸다.
LG는 좌절하지 않았다. 곧바로 팀 개편 작업에 들어갔다. 팀내 시스템, 샐러리캡 사정 상 대형 FA를 영입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니었다.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팀 간판 가드 이재도와 이관희를 내보냈다. 두경민과 전성현을 데려왔다.
부상으로 신음하고 있지만, 두 선수는 단기전 폭발력이 있는 리그 최상급 가드와 슈터였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전략이었다. 두 선수가 정상 컨디션만 되찾는다면, LG의 객관적 전력은 우승을 넘볼 수 있었다.
장기 플랜까지 녹아 있었다.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양준석과 유기상의 잠재력을 믿었다.
아시아쿼터도 제대로 데려왔다. 필리핀 국가대표이지만 일본프로농구 B리그에서 출전기회를 얻지 못하던 칼 타마요를 영입했다. 군 입대 양홍석의 공백을 메우려는 의도였다.
LG의 계산은 초반부터 어긋났다. 두경민과 전성현은 부상에서 신음했다. 설상가상으로 팀 절대적 에이스 아셈 마레이 마저 부상으로 쓰러졌다. 속절없는 8연패를 당했다. 우승은 커녕, 6강 플레이오프 탈락 위기가 엄습했다.
LG는 좌절하지 않았다. 시스템의 힘을 믿었다.
조상현 감독은 철저한 준비와 디테일에 일가견이 있다. 팀내 과학적 요소, 맞춤형 전술을 도입했다. '이름값'에 연연하지 않았다.
단기전, 그리고 우승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수비. 철저하게 가다듬었다. 정밀한 위치 조정과 간격 조정으로 리그 최고 수비팀으로 만들었다. 뺏는 수비를 지양하고, 철저하게 확률높은 수비를 시스템화했다.
이름값에 연연하지 않았다. 전성현은 들쭉날쭉했다. 플레이오프 4강전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다. 챔프전 출전이 불투명하다.
두경민은 4강전을 앞두고 팀과 불화설이 생겼다. LG는 고심 끝에 두경민을 로스터에서 제외했다. 두경민은 팀을 이탈한 상태다.
잠재력이 폭발했다. 철저한 시스템 속에서 양준석과 유기상, 그리고 정인덕은 공수 겸장의 선수로 업그레이드됐다.
유기상은 연봉 1억원, 양준석은 1억3000만원, 정인덕은 1억1000만원이다. 3명의 선수 합쳐 3억4000만원에 불과하다.
플레이오프에서 '3&D'의 진정한 가치를 보여준 정인덕의 미친 활약에 대해 마레이는 '연봉 3배는 더 받아야 할 선수'라고 말할 정도였다. 챔프전 진출을 확정 지은 플레이오프 3차전, 울산 동천체육관을 찾은 유재학 한국농구연맹(KBL) 본부장은 "조상현 감독의 가장 큰 공로는 양준석이란 무명 가드를 올 시즌 팀 핵심으로 성장시킨 점이다. 선수를 육성할 줄 안다는 것은 사령탑으로 매우 좋은 자질"이라고 했다.
골밑을 책임지는 타마요와 마레이의 하이-로 게임은 더욱 정밀해졌다. 두 선수는 철저한 훈련으로 선수단을 자극한다. 진정한 에이스들이다. 농구도시로 유명한 창원 팬의 응원열기를 진정한 경기력으로 승화시키는 힘들이다.
정규리그 2위로 4강 직행. 하지만, 플레이오프 전망은 밝지만은 않았다. 4강 상대는 두터운 로스터의 울산 현대모비스. 6강에서 안양 정관장을 3전 전승으로 셧아웃시킨 팀이다. 5차전 혈투를 대부분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하지만, LG는 철저한 수비 간격과 승부처 응집력으로 클러치 상황을 지배했다. 3전 전승으로 끝냈다. 2년 연속 4강 탈락의 좌절을 '슈퍼스타'없이 만들었다.
올 시즌, 유난히 5억원 이상의 고연봉 선수들은 부상과 부진. 그리고 '언해피'가 이어진다.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는 서울 SK조차 4강 3차전에서 30점 차 리드를 당하면서 패했다. 오재현 김선형 안영준의 '불협화음' 소문이 돈다. LG의 무결점 챔프전 진출은 그래서 더 의미깊다.
류동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