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스틸야드/ 2024-2025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CLE/ 리그스테이지 7차전/ 포항스틸러스 vs 가와사키프론탈레/ 포항 이동희, 이호재/ 경기 종료/ 패배/ 아쉬움/ 사진 김정수
사진제공=한국프로축구연맹
AFC SNS
[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산둥 타이산(중국)의 돌발 기권이라는 충격에도 K리그가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했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이 2024~2025시즌 야심차게 도입한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의 리그 스테이지가 논란 속에 막을 내렸다.
산둥은 19일 오후 7시 울산 문수축구경기장에서 울산 HD와 리그 스테이지 최종전을 치를 예정이었다. 그러나 킥오프를 불과 몇 시간 앞두고 기권해 버렸다. 선수들의 '건강상 이유'라고 했지만 최근 불거진 정치적 이슈가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산둥은 지난 11일 광주FC와의 홈경기에서 원정팬 쪽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아픔을 희화화하는 '전두환 사진'을 등장시켜 큰 파장을 몰고 왔다. 원정에선 한국 팬들의 '보복'을 우려했다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
산둥은 이미 탈락이 확정된 울산을 상대로 비기기만해도 16강에 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기회를 스스로 날려버렸다. 산둥의 승점이 '0점' 처리되면 그 자리를 포항 스틸러스가 꿰찰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포항은 18일 조호르 다룰 탁짐(말레이시아)과의 최종전에서 2대5로 패하며 8위에서 9위로 떨어지며 탈락했다. 동아시아와 서아시아, 두 권역으로 나뉘어 치러지는 ACLE 리그 스테이지는 각각 상위 8개팀이 16강에 진출한다.
AFC SNS
AFC 규정
산둥이 사라지면 포항이 8위가 된다. 더구나 포항 바로 밑의 상하이 포트(중국)의 마지막 반전도 없었다. 상하위 포트는 19일 요코하마 마리노스(일본)와의 최종전에서 0대2로 패했다. 포항의 승점은 9점, 상하이 포트는 8점이었다. 그러나 AFC는 산둥의 '몰수패'가 아닌 이번 시즌 ACLE 전 경기를 취소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따라서 포항이 지난해 11월 6일 안방에서 산둥을 4대2 대파한 경기도 없던 일이 됐다. 승점 3점을 도둑맞으며 포항의 승점은 6점이 됐다.
상하이 포트의 경우 자국 팀끼리는 리그 스테이지에서 만나지 않는다는 규정으로 승점 8점이 그대로 유지됐다. 포항으로선 억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상하이 포트는 8경기, 포항은 7경기에서 얻은 승점이다. 경기 수에서 치명적인 결함이 있었다. 그러나 AFC는 '기권팀이 나올 경우 해당 클럽과 치른 공식전 결과가 모두 지워진다'는 원칙을 고수했다. '후진 행정'이 빚은 참사였다. 조별리그가 아닌 통합 스테이지로 운영되는 ACLE의 경기 방식을 제대로 규정에 반영하지 못해 벌어진 '촌극'이다. ACLE는 우승 상금만 무려 1000만달러(약 144억원)지만 AFC가 스스로 그 권위를 떨어뜨렸다.
사진제공=한국프로축구연맹
울산문수축구경기장/ K리그1/ 울산HDFC vs FC안양/ 울산 단체/ 경기 종료/ 패배/ 아쉬움/ 사진 김정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신인 ACL 최다 우승(12회)에 빛나는 K리그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ACLE 출전에 턱걸이 한 광주만 살아남았다. 반면 일본 J리그는 세 팀 모두 리그 스테이지를 통과했다. 논란의 중국도 두 팀이 생존했고, 말레이시아와 태국도 16강 티켓을 한 장씩 거머쥐었다. ACLE에 우승하지 못할 경우 앞으로는 4년 마다 열리는 국제축구연맹(FIFA) 클럽월드컵에도 참가하지 못한다.
이정효 광주 감독은 16강에 진출하고도 '투자'를 화두로 올려놓으며 찜찜해 했다. 결국 외국인 선수 수준 차이가 대세를 갈랐다. ACLE는 외국인 선수 출전 제한이 없다. 조호르는 포항전에서 '베스트 11' 가운데 10명을 '용병'으로 채웠다. 교체 선수도 5명 중 4명이 외인이었다. 태국의 부리람 유나이티드도 광주와의 마지막 대결에서 주전 9명을 외국인 선수로 가동했다. 이 정도는 아니지만 일본과 중국의 외국인 선수들의 수준도 K리그보다 훨씬 우수하다.
광주월드컵경기장/ 2024-2025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CLE/ 리그스테이지 8차전/ 광주FC vs 부리람유나이티드/ 경기 종료/ 무승부/ 광주 이정효 감독/ 사진 서혜민
울산문수축구경기장/ K리그1/ 울산HDFC vs FC안양/ 울산 김판곤 감독/ 사진 김정수
광주의 경우 이정효 감독의 지략과 알바니아 국가대표 아사니의 해결 능력이 빛을 발했다. 반면 울산은 '용병 덕'을 보지 못했고, 포항도 1% 부족했다. 물론 태국과 말레이시아처럼 외국인 쿼터를 폐지할 경우 국내 선수들이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 이는 국가대표팀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 다만 ACLE 출전에 도전하는 팀의 경우 1명의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더라도 아시아 무대에서 통할 수 있는 국제 경쟁력이 높은 자원을 수혈해야 한다. 결국 투자가 수반돼야 한다는 이야기다.
김판곤 울산 감독은 2025시즌을 앞두고 울산의 ACLE 부진에 대해 "국내 선수들은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보다 낫다. 그러나 외국인 선수의 자질은 떨어진다"며 "우리는 ACLE에서 한 경기를 제외하고 볼점유율이 상대 보다 높았다. 하지만 결정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상대는 외국인 선수들이 골을 넣고, 우리는 그렇지 못했다. 똑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K리그의 아시아 무대 경쟁력 강화, 한국 축구의 새로운 숙제로 떠올랐다.
김성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