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중국이 반납한 아시안컵 개최권, 국내 유치 가능성은?

주간관리자 0

 


중국이 2023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개최권을 반납하면서 새로운 개최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AFC는 14일(한국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중국축구협회(CFA)가 내년 아시안컵을 개최할 수 없다는 통보를 해왔다. 이는 폭넓은 논의 끝에 이뤄진 결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다. 최근 중국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세계적 국제도시이자 경제수도인 상하이를 전면 봉쇄할 만큼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이미 9월 개최 예정이던 항저우아시안게임과 6~7월 청두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모두 연기했다. 다만 아시안컵 포기는 다소 뜻밖의 소식이다. 내년 6월 16일부터 7월 16일까지 베이징, 상하이를 비롯한 10개 도시에서 펼쳐질 예정이던 대회를 개막이 1년 넘게 남은 시점에서 포기해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고 있다. 실제로 중국은 각 경기장 시설공사에 나서는 등 그동안 상당히 정성을 쏟았다. AFC는 “코로나19 대유행이란 예외적 상황을 인정한다”는 짧은 설명만 달았을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축구협회(KFA)는 아시안컵 개최에 관심이 있는 분위기다. AFC는 일단 2023년 대회 개최와 관련한 구체적인 후속 조치는 추후 알리겠다고만 밝혔지만, 한국이 마음먹고 유치경쟁에 뛰어들면 가능성은 충분하다. 정몽규 KFA 회장 입장에서도 줄곧 약점으로 지적된 국제축구외교력을 재고하고, 입지를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게다가 KFA는 2023년 아시안컵 유치에 나선 바 있다. 당시 인도네시아, 태국도 관심을 드러냈으나 이후 여자월드컵 개최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 유치 계획을 철회하면서 2019년 6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FC 임시총회를 통해 중국에 개최권이 주어졌다. 1956년 시작된 아시안컵에서 1, 2회 대회 우승을 차지하고, 1960년 2회 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했던 한국은 그 후 우승과 인연을 맺지 못했을 뿐더러 대회를 개최하지도 않았다.

물론 원한다고 해서 무조건 개최권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4개국 선수단이 나서는 상당히 큰 규모의 국제대회인 터라 정부의 허락이 필요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협의·지원도 필수다. 하지만 AFC의 까다로운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만한 인프라를 구축한 국가는 많지 않다. 동아시아에선 한국과 일본, 서아시아에선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정도다. 일단 KFA는 AFC의 구체적 계획안이 마련되면 최종 결론을 내릴 전망이다.

 

기사제공 스포츠동아

남장현 기자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