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이정후는 심판의 딴지에도 흔들리지 않았다.
이정후는 18일(한국시간) 시티즌스뱅크파크에서 열린 필라델피아 필리스와 원정경기 9회 2사 주자없는 상황에서 대타로 등장했다.
이 타석에서 그는 풀카운트 승부 끝에 내야안타로 출루했지만, 추가 진루는 이뤄지지 못했고 그대로 팀의 4-6 패배로 끝났다.
이날 이정후는 9회 대타로 출전했다. 사진= Kyle Ross-Imagn Images= 연합뉴스 제공
‘NBC스포츠 베이 에어리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경기가 끝난 뒤 필 쿠지 주심이 심판 라커룸으로 들어가는 도중 자이언츠 더그아웃앞으로 와서 통역 한동희 씨를 통해 이정후에게 뭔가를 얘기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이 장면의 전말은 경기 후 인터뷰를 통해 밝혀졌다. 볼카운트 1-1에서 3구째 낮은 코스의 공이 스트라이크가 된 이후 이정후가 헬멧을 가볍게 치는 행동을 했다.
헬멧이 커서 평소에도 스윙만 하면 헬멧이 자주 벗겨지는 이정후는 타석에서 종종 헬멧을 가볍게 치거나 누르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날도 이런 의미의 행동이었다.
문제는 쿠지 주심은 다른 의미로 받아들였다는 것.
댄 벨리노 심판조장은 풀기자단을 통해 “시범경기 기간 우리가 경험했던 일들 때문에 메이저리그에서는 선수들이 자신의 헬멧을 치는 행동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메이저리그는 이번 시범경기 기간 ABS(자동 스트라이크존 판독 시스템) 챌린지를 시범 운영했다. 타자는 헬멧을 두드리는 것이 ABS를 요청하는 신호였다.
벨리노는 “정규시즌에서 그 신호를 하는 것은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에 대한 시비로 해석될 것이다. 스트라이크 볼 판정에 불만을 드러내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가 어떤 의도였는지는 말하지 않겠다. 쿠지는 그에게 ‘이봐, 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그렇게 머리를 치면 안 돼. 마치 판정에 불만을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잖아’라고 말했지만, 언어 장벽 때문에 이정후가 그 말을 알아듣지 못한 거 같다. 일종의 의사소통 문제였다”며 상황을 설명했다.
이정후는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자이언츠 경기를 보신 분이라면 내가 투구를 볼 때마다 헬멧을 조정하는 것을 알고 계실 것이다. 심판이 뭐라고 말을 하길래 나는 심판에게 ‘아이 돈 스피크 잉글리시(영어 못해요)’라고 말했다”며 상황을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안타로 출루하며 이같은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 이정후는 “오늘 심판분이 약간 예민하셨던 거 같다”고 말을 이었다.
쿠지 주심은 이정후의 말대로 이날 유독 예민해 보였다. 7회가 끝난 뒤 마운드를 내려가는 샌프란시스코 선발 조던 힉스와 언쟁을 벌이기도 했다.
쿠지가 힉스와 언쟁을 벌인 것은 이유가 있었다. 힉스는 이날 상대 팀 선수들과도 충돌했다.
상대 타자 트레이 터너를 상대로 던진 101마일 강속구가 몸을 맞힌 것이 시작이었다. 이 사구가 필라델피아 선수들을 분노하게 했다면 이후 필라델피아 타자 알렉 봄과 승부에서 봄이 뒤늦게 타임을 부른 뒤 타석에서 발을 뺀 것은 힉스의 분노에 기름을 끼얹었다. 이후에도 몇 차례 필라델피아 더그아웃과 언쟁을 벌이는 등 살벌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쿠지는 이같은 분위기를 인지하고 힉스를 진정시키기 위해 언쟁을 벌인 것.
힉스는 “심판과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그가 내앞에 나타나는 것을 원치 않았기에 그래서 그냥 자리를 뜨는 방식으로 상황을 진정시켰다. 경기 내내 이런 모습이었다. 그냥 그런 날이었다”며 하루를 돌아봤다.
수 차례 마운드를 방문해 힉스를 달랬던 3루수 맷 채프먼은 “두 사람 모두 약간 과열된 모습이었다. 안좋은 일이 벌어지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힉스도 퇴장당하지 않고 경기에 남을 수 있었다. 이것이 우리에게 얼마나 컸는지 보셔서 아실 것이다. 나는 경쟁심 넘치는 모습을 좋아한다. 통제에서 벗어난 일이 일어나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생각한다”며 상황을 돌아봤다.
[애너하임(미국)= 김재호 MK스포츠 특파원]
김재호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