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블랙리스트' 김기춘, 특검 재출석…진술 변화 있을까

난라다리 0

0002525622_001_20170124103908326.jpg?type=w540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조윤선 전 장관은 오후 2시에… 대질 가능성도

(서울=뉴스1) 이후민 기자,심언기 기자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 및 주도 혐의로 구속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78)이 24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수사 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재출석했다.

김 전 실장은 예정된 시간보다 30분 가량 늦은 오전 10시30분쯤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검사무실에 도착해 수갑을 찬 채 호송차에서 내렸다. 

김 전 실장은 그간 특검 출석 때와 마찬가지로 '유진룡 전 장관이 본인이 지시했다고 말했는데 인정하나' '대통령에 블랙리스트를 보고했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답 없이 조사실로 향했다. 

김 전 실장은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혐의와 함께 문체부 1급 공무원 인사에 부당하게 개입한 혐의도 받고 있다. 또 최순실씨(61·구속기소)의 국정농단에 깊숙이 연루됐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른바 '블랙리스트'는 정치성향에 따라 문화예술계 인사 및 단체의 정부지원을 배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진 문건으로 특검 수사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됐다. 또 이를 통해 문화예술 관련 분야 전반에 걸친 검열 및 지원배제가 이뤄졌음이 드러났다.

특검은 김 전 실장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집행을 총괄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김 전 실장의 주도 아래 청와대 정무수석 산하 국민소통비서관실에서 작성됐고, 교육문화수석을 거쳐 문체부에 전달했다는 것이다. 당시 청와대 정무수석으로 재직한 조윤선 전 문체부장관(51·구속)은 명단 작성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블랙리스트의 작성이 세월호참사 발생 한달 뒤 시작돼, 작성 목적이 세월호와 관련한 문화예술인 활동 방해와 정부에 비판적인 여론의 사전차단에 있었다는 의혹도 불거진 상태다. 

김 전 실장은 블랙리스트를 통한 문화예술인 지원배제 외에도 친정부 성향의 보수우파 시민단체들을 대상으로 재정지원을 지시해 전국경제인연합회로 하여금 해당 단체에 지원을 하도록 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이 과정에는 박준우 전 청와대 정무수석(64)과 조 전 장관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앞서 21일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받은 이후 조 전 장관은 두차례, 김 전 실장은 22일 첫 소환해 조사를 각각 벌인 바 있다. 조 전 장관은 이날 오후 2시 특검에 출석한다.

특검팀은 이들을 상대로 블랙리스트에 박 대통령의 개입 여부를 계속해서 추궁하는 한편 전날인 23일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61)을 상대로 확보된 진술 등을 재확인하는 등 강도높은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특검팀은 필요하다면 이들의 대질조사도 벌인다는 계획이다.

유 전 장관은 이날 특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며 "김 전 실장이 취임한 후 블랙리스트와 관련된 행위를 지시하고, 적용을 강요했기 때문에 김 전 실장이 블랙리스트 작성 및 활용에 대해서 굉장히 큰 책임을 지고 있다"고 블랙리스트에 관한 김 전 실장의 책임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이어 특검 조사에서도 계속해서 혐의를 부인해 온 것으로 알려진 김 전 실장과 조 전 장관의 진술 태도에 변화가 있을지도 주목된다.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