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48개국 2026 월드컵도 한 조 4팀… 1·2위 32강 토너먼트 직행

조아라유 0

잔니 인판티노 국제축구연맹 회장. 로이터연합뉴스

 

 


역대 최다인 48개국이 참가하는 2026 북중미월드컵에서는 한 조에 4개 팀인 조별리그 형식이 유지된다. 당초 고려됐던 ‘3개팀·16조’에서 담합이나 긴장감 저하 등 우려가 나오면서다. 하지만 경기 수 증가와 빡빡한 일정으로 선수 피로도가 약점으로 꼽히면서 ‘필수휴식기간’ 등을 위한 조치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15일(한국시간) “제73회 르완다 총회에 앞서 열린 평의회에서 2026 북중미 월드컵은 4팀씩 12조로 묶어 조별리그를 치르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각조 1·2위, 총 24팀이 32강 토너먼트에 직행하고, 나머지 8자리는 조 3위팀들 중 성적순으로 정해진다. FIFA는 “이 방식은 담합 위험을 완화하고 모든 팀이 최소 3경기를 치르도록 보장한다”며 “경쟁 팀들 간 균형 잡힌 휴식도 제공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2026 북중미월드컵부터는 참가국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늘어난다. 이에 FIFA는 조별리그를 ‘3개팀·16조’(기존 4개팀·8조)로 변경하고, 각 조 1·2위를 32강 토너먼트에 올리는 방안을 고려했다. 이 경우 총 80경기가 치러진다.

하지만 곧장 우려가 쏟아졌다. 3개팀·16조 체제에서는 팀당 조별리그 경기 수가 2경기에 그치고, 조별리그 최종전을 동시에 진행할 수 없어 2차전을 치르는 두 팀의 담합 가능성도 있다. 일찌감치 1·2위가 결정되면 최종전 경기의 긴장감도 떨어진다.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는 H조 최종전에서 한국이 극적으로 16강에 진출한 장면이 명장면으로 손꼽혔다. 당시 한국은 포르투갈을 2대 1로 이겼지만 같은 시각 우루과이-가나 경기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이 무산될 수도 있는 상황에서, 그라운드 중앙에 모여 스마트폰으로 해당 경기를 10분 정도 시청했다.

4개팀·12조 체제에서는 경기 수가 104경기까지 늘어나고, 대회 기간도 최소 한 주는 늘어난다. 이 때문에 FIFA는 중계권료 수익이 더 늘 수 있다.

반면 일정이 촉박해지면서 선수들의 피로도는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북중미월드컵 결승전은 2026년 7월 19일로 정해졌는데, FIFA는 각 구단에 그해 5월 25일부터 의무적으로 대표팀에 선수를 보내도록 했다. FIFA는 23일가량 주어진 훈련기간을 한 주 정도 줄여 전체 일정을 이전 대회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카타르 대회에서도 총 29일 기간에 64경기를 치르는 빡빡한 일정으로 불만이 컸다.

요나스 베어-호프만 국제축구선수협회(FIFPRO) 회장은 “현재 진행 중인 사안은 선수들에게 부여되는 과도한 부담의 새로운 증거”라고 말했다. 마헤타 몰랑고 잉글랜드프로축구협회(PFA) 회장도 “기본적으로 축구 일정은 완전한 재설정이 필요하다”며 “연장된 2026 월드컵 일정은 이미 과밀된 일정에 더 많은 경기들이 강요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우려에 FIFA는 선수 복지와 관련해 필수 휴식 기간과 같은 원칙을 검토하기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할 예정이다.

 

기사제공 국민일보

권중혁 기자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