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고양 소노, 가입비 15억 일시불 납부

조아라유 0

 



고양 소노가 KBL 가입비 15억 원을 모두 납부했다.

데이원스포츠는 2022년 여름 야심차게 창단했다. 그러나 KBL에 가입비를 내는 것부터 문제였다. 15억 원을 한 번에 내는 것이 아닌, 5억 원만 KBL에 선입금하기로 했다.

하지만 5억 원을 내는 것조차 순탄치 않았다. 2022~2023 정규리그 개막 직전에야, 5억 원을 납부했다. 축제가 돼야 할 2022~2023 개막 미디어데이도 어수선했다.

더 중요한 건 잔여분인 10억 원이었다. 데이원스포츠는 지난 3월 31일까지 잔여 10억 원을 납부해야 했지만, 주변의 시선은 많은 걱정을 했다. 당시 선수단 월급이 밀렸기 때문이다.

게다가 모기업인 대우해양조선건설이 부도 처리됐다. 데이원스포츠가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했음에도, KBL은 정규리그 7위의 플레이오프 합류를 생각해야 했다.

하지만 데이원스포츠는 납부기한에 맞춰 10억 원을 냈다. 플레이오프에서 감동 농구를 했다. 그러나 자금난을 해결하지 못한 데이원스포츠는 지난 6월 제명됐다. 코칭스태프와 선수단 모두 흩어질 위기에 처했다.

구세주로 나타난 기업이 소노인터내셔널이었다. 지난 7월 21일 KBL로부터 창단을 최종 승인받았고, 이기완 단장과 황명호 사무국장, 김승기 감독과 주장 김강선(190cm, G)이 기자회견장에 참석했다.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의 일원으로 미디어와 만났다.

이기완 단장은 당시 “가입금 납부는 전혀 문제없다. 일시불로 납부하겠다”며 재정에 관해 자신감을 드러냈다. 데이원스포츠와 모든 게 대비됐기에, 팬들의 기쁨은 더 컸다.

이기완 단장의 자신감은 공수표가 아니었다. 소노 관계자는 3일 “가입금 15억 원을 일시 납부했다”고 이야기했다. KBL의 식구가 됐음을 완전히 증명했다.

한편, 소노는 지난 7월 31일 창단 첫 월급을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에게 입금했다. 외국 선수를 포함한 선수단 구성을 종료했다. 그리고 고양체육관의 시설을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사무국도 고양체육관에서 업무를 볼 계획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체육관에 관련된 업무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몸을 만든 선수들은 연습 경기로 실전 감각을 쌓는다. 실전 경험을 쌓은 후 9월 11일부터 9일 동안 강원도 홍천에 위치한 비발디파크에서 전지훈련을 한다. 이를 위한 시설 보수도 함께 진행한다.

‘창단식’이라는 중요한 행사도 남아있다. 창단식이 끝나면, 2023~2024시즌. 가장 의미 있는 시즌일 수 있다.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라는 이름으로 치르는 첫 시즌이기 때문이다.

사진 제공 = KBL

사진 설명 = 창단 기자회견에 참석한 이기완 소노 단장
 

기사제공 바스켓코리아

손동환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