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과열된 FA 시장, 냉정하게 돌아봐야 할 때

난라다리 0

[KBO 리그] FA 보다 내부 육성이 먼저다

[오마이뉴스유준상 기자]

올해부터 FA 권리를 행사한 선수들은 원소속 구단과 협상 기간을 따로 가지지 않고 모든 팀들과 협상을 할 수 있게 됐다. 그래서인지 이전과 달리 지난 11일 FA 시장이 개장한 이후에도 한동안 계약 소식은 단 한 건도 들리지 않았다. 15일 오전 김재호, 17일 오후 나지완, 21일 오전 이원석까지 세 명만 계약을 마무리했다. 여전히 구단들과 선수들의 줄다리기는 진행 중이다.

어떤 방향으로 결론이 나올지는 아무도 모른다. 특히 해외 진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빅 5'의 경우 더더욱 그렇다. 투수 쪽에서는 김광현 등 총 세 명의 투수가, 타자 쪽에서는 황재균과 최형우가 그 주인공이다. 이렇게 많은 선수들이 한꺼번에 해외 진출 가능성을 열어둔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거품 현상'이 올해에도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황재균의 경우 워낙 본인의 의사가 확고해 미국 현지로 직접 가서 구단들의 평가를 받기도 했고, 나머지 네 선수들에 대해서도 메이저리그(MLB)나 일본 프로야구(NPB)의 관심이 뜨겁다. 이런 분위기가 아직 도장을 찍지 못한 나머지 FA 선수들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껑충 뛰어오른 금액

2004년 말 심정수가 현대에서 삼성으로 이적할 당시 총액 60억원, 박진만은 39억원을 받으며 야구계 전체가 발칵 뒤집힌 적이 있었다. 하지만 그것이 거품 현상을 유발한 시작점은 아니었다. 본격적으로 시장이 과열된 것은 2011년 말 이택근이 LG에서 넥센으로 이적했을 때였다. 4년간 총액 50억원, 심정수 이후 7년 만에 '빅딜'이 성사된 셈이었다.

이택근을 시작으로 FA 시장에 나오는 선수들의 계약이 성사될 때마다 야구팬들의 입이 쩍 벌어졌다. 50억은 기본이고 2013년 말 드디어 75억원이라는 사상 초유의 금액이 나오기도 한다. 주인공은 강민호였다. 타 팀과 계약한 것이 아니라 원소속구단 롯데와의 재계약을 했다고 하더라도 역대 야수와 투수를 통틀어 가장 많은 금액이었다. 또 한 팀에서만 대형 FA 두 명을 잡는 일이 벌어졌는데, 같은 해 한화가 이용규와 정근우를 총합 137억원에 영입하며 파격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듬해엔 깨지지 않을 것만 같았던 금액, 80억원 역시 깨졌다. 윤성환이 4년간 80억원에 재계약을 맺었고, 함께 시장에 나왔었던 안지만도 4년간 65억원이라는 구원 투수로선 파격적인 조건에 도장을 찍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충격적인 주인공이 있었다. 외부 FA 영입엔 관심이 별로 많지 않았던 두산이 좌완 장원준을 4년 84억원에 영입하며 역대 투수 FA로선 가장 많은 금액이 나왔다. 최정은 원소속구단 SK와 4년간 86억원, 투-타를 통틀어 역대 최고액을 갈아치웠다.

2015년 3월 미국에서 돌아온 윤석민이 시즌에 돌입하면서 4년간 90억원에 도장을 찍었고, 지난해 말 박석민이 NC로 이적하면서 4년간 96억원이라는 역대 최고의 대우를 받았다. 그렇게 금액은 점차 높아졌는데 선수들의 요구는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다. 또 올해는 '해외 러시'를 꿈꾸고 있다는 변수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잡아야 하는 구단, 인정받고 싶은 선수의 두뇌싸움

?기본적으로 팀에 필요한 선수가 시장에 나오면 원소속 구단으로선 그 선수를 잡고 싶은 마음이 가득할 것이다. 하지만 선수 입장에서는 어느 팀이 됐든 자신의 평가를 받고 싶어한다. 어쩌면 구단과 선수의 두뇌싸움이 벌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 두뇌싸움이 시장 자체를 과열화시킨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다만 '거품' 논란이라는 것은 어떠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다. 객관적인 잣대가 없고, 단지 숫자로만 판단할 수 있다. 장원준의 84억원이 다른 팀 입장에서는 다소 많다고 여길 수 있는 금액이지만 한편으론 장원준의 영입으로 한국시리즈 2연패를 달성한 두산 입장에선 최고의 투자였다고 말할 수 있다. '거품 현상'을 이야기할 때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하는 이유이다. 

팬들이 납득할 수 없는 것은 과연 그만큼 많은 금액을 받고 어느 정도 팀에 공헌하느냐에 대한 부분이다. 장원준은 예외적인 사례이지만 나머지 FA 선수들의 협상을 보게 되면, 모두가 해당 팀의 좋은 성적과 선수의 계약이 관련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또 FA를 영입하면서 해당 선수 전년도 연봉 200%+보상선수 1인 또는 해당 선수 전년도 연봉 300% 중 한 가지를 원소속구단이 선택하는데, 영입된 선수의 금액이 두 조건과 비교했을 때 적당한지에 대해서도 의문 부호가 붙는다.

타 구단과 선수들의 사전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올해부턴 우선협상기간이 폐지된 것도 하나의 이유일 수 있다. 모든 선수들, 구단들이 공정하게 협상에 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동시에 선수 입장에서는 생각할 시간이 많아졌다. 서둘러서 협상을 할 이유가 없고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정말 자신을 원하는, 진정성을 보이는 구단을 고를 수도 있다. 이원석이 삼성으로 이적하면서 '진정성'을 언급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올해 진행 중인 FA 시장에선 역시 '빅 5'라고 불리는 선수들의 움직임에 대해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박석민의 96억원을 뛰어넘는 선수가 나올 것이라는 예측은 당연히 나오고 있고, 'FA 100억 시대'를 열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해외 진출을 원하는 선수들 못지않게 구단들도 간절하지만 과열된 시장 분위기가 사그라들 것이라는 예상은 적지 않다. 결국 더 유리한 조건을 택하는 구단의 손을 잡을 가능성이 더 크다.

우선협상기간 폐지도 폐지이지만 '빅 5'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자 다른 선수들도 조금은 신중하게 협상에 임하는 분위기다. 앞서 세 명의 선수가 도장을 찍었음에도 이들보단 'B빅 5'가 어떤 결과를 이끌어내느냐가 더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어느 한 선수가 협상을 성사시키면 그 이후엔 나머지 선수들도 줄줄이 협상 소식을 전해올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과열된 FA 시장을 냉정하게 돌아봐야 할 때가 아닐까

야수진의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팀, 넥센이다. 팀의 주축 야수였던 박병호와 유한준이 떠나기도 했고, 매년 뒷문을 지킨 손승락도 이적했다. 외국인투수 두 명은 시작부터 뭔가 삐걱거렸다. 시즌 시작 전부터 기대보다 우려가 훨씬 많았던 팀이 넥센이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넥센은 정규시즌을 3위로 마감했고 언제나 그랬듯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그 중심에는 젊은 야수들의 힘이 있었다. 김하성은 20-20 클럽에 가입하며 한층 성장했고, 외야에서는 고종욱이 시즌 내내 꾸준하게 활약했다. 부상으로 시즌을 끝까지 치르지 못한 박정음도 '언성 히어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넥센을 이끌었다. 염경엽 감독도 선수들에게 많은 것을 주문하지 않았고, 그런 믿음이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다. 외부 영입 없이, 아니 외부 유출만 있었던 팀이라고 하기엔 믿을 수 없는 결과였다.

장원준 영입 이전까지 지갑을 잘 열지 않았던 두산도 내부에서 육성한 선수들의 성장이 팀을 이끄는 원동력이었다. 매년 가을야구 단골손님으로 초대받았고, 또 백업 야수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삼성에 이어 두산이 왕조를 구축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화수분 야구'의 원조, 두산은 내부 육성의 힘을 누구보다 잘 아는 팀 중 한 팀이다.

넥센과 두산이 최근 몇 년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원인, 단 한 가지였다. 내부 육성이라는 탁월한 선택이었다. 오랜 기다림이 언젠가는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굳이 지갑을 열지 않더라도 천천히 한 발씩 나아가면 된다는 것을 잊지 않았다. 분명 이 두 팀이 던지는 메시지를 생각해봐야 할 필요가 있다.

2014년 단장회의에서 언급이 됐으나 도입하지 못했던 FA 등급제에 대한 이야기가 다시 나오고 있다. 일본의 경우 팀 내 연봉 순위에 따라 A, B, C급으로 등급제를 적용한다. 그래서 등급에 따라 보상 기준이 달라지는데 국내에서도 현실적인 대안에 맞춰 KBO리그만의 등급제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커지는 추세다. 등급제도 거품 논란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공급과 수요의 원칙에 따라 FA 시장의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은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선을 넘게 되면 논란은 당연히 발생하기 마련이다. 시장이 뜨거워질수록 야구계가 냉정하고 차분하게 FA 시장을 돌아봐야 한다.
 

기사제공 오마이뉴스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