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반환점 돈 슈틸리케호 '절반의 성공...수비 보완 절실'

난라다리 0

PS16111600115g_99_20161116140208.jpg?type=w540

 

 

[이데일리 스타in 이석무 기자] 9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노리는 슈틸리케호가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반환점을 2위로 돌았다. 지금까지 과정을 한 마디로 압축하면 ‘절반의 성공’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15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 5차전에서 남태희(레퀴야)의 동점골과 구자철(아우크스부르크)의 역전골로 2-1로 간신히 승리했다.

이로써 한국은 최종예선 A조에서 승점 10(골 득실 +1)을 따내 우즈베키스탄을 3위로 끌어내리고 조 2위로 올라섰다. 조 2위는 월드컵 본선에 직행할 수 있는 순위다. 어느 정도는 만족할 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내용을 차근차근 뜯어보면 결코 그렇지 않다.

▲불안한 2위...처절한 생존경쟁 불가피

한국이 비록 2위에 놓여 있지만 3위인 우즈베키스탄과는 승점 1점 차에 불과하다. 조금이라도 삐끗하면 언제든 3위로 떨어질 수 있다. 물론 1위인 이란(3승2무 승점 11)과의 격차도 1점밖에 나지 않는 만큼 한국이 선두로 올라설 가능성도 없지 않다.

슈틸리케 감독은 월드컵 본선에 올라가는 데 필요한 승점을 ‘22’로 보고 있다. 그것보다 적은 승점으로 올라갈 수도 있지만 그래도 22점을 얻어야 안정권에 올라설 수 있다.

현재 승점 10점에 불과한 만큼 남은 5경기에서 승점 12점이 필요하다. 최소한 4승 이상 거둬야 하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정상으로는 후반기가 전반기보다 더 어렵다. 전반기는 홈에서 3경기, 원정에서 2경기를 치른 반면 후반기는 원정에서 3경기를 가져야 한다. 내년 3월 23일 중국을 상대로 6차전 원정경기를 치른 뒤 곧바로 내년 3월 28일 시리아와 홈에서 7차전을 갖는다.

이후 내년 6월 13일에는 카타르와 원정 8차전이 예정돼 있다. 이어 내년 8월 31일 홈에서 이란과 9차전에서 맞붙은 뒤 9월 5일 원정으로 우즈베키스탄과 10차전 최종전을 갖게 된다.

가장 껄끄러운 상대인 이란과 우즈베키스탄을 마지막에 잇따라 상대한다. 중국-시리아-카타르로 이어지는 6~8차전을 모두 이기는 것이 가장 중요한 숙제다. 그때까지 승점 안정권에 올라서지 못한다면 본선 진출을 장담할 수 없다.

▲5경기서 6실점...수비 조직력 보완 절실

슈틸리케호는 최종예선 전반기 5경기에서 8골을 넣고 6골을 실점했다. A조 6개 팀 가운데 가장 많은 골을 터뜨렸지만 실점도 카타르, 중국과 함께 가장 많다. 아시아권 팀들을 상대로 이렇게 많은 실점을 내줬다는 것은 수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다.

특히 한국은 홈에서 열린 3경기에서 무려 5골이나 허용했다. 나머지 5개 팀이 안방에서 1실점 이내로 막았음을 감안하면 매우 이례적이다.

실점 내용도 좋지 않았다. 최종예선 5경기에서 선제골을 허용한 것이 3경기나 된다. 한국이 이긴 카타르-우즈베키스탄전의 경우 경기 초반 수비 실수로 먼저 실점을 내주고 힘겹게 따라가는 흐름이었다. 승리를 해도 마지막까지 마음을 졸일 수밖에 없었다.

수비 불안의 원인은 매 경기 수비라인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최종예선 5경기에서 한 번도 같은 포백 수비라인이 구성된 적이 없었다. 멤버들이 매번 달라지다 보니 조직력을 구축하기가 어려웠다. 수비수 간 호흡이 맞지 않아 어이없이 실점을 내주는 경우가 많은 이유다.

측면 수비의 불안이 전체적인 수비 라인에 악영향을 미쳤다. 슈틸리케 감독은 취약한 오른쪽 측면 풀백 자리를 중앙수비수 장현수(광저우 푸리)에게 그 자리를 맡겼다. 장현수는 최종예선 5경기 중 3경기에서 오른쪽 풀백으로 출전했다.

하지만 장현수에게 그 자리는 몸에 맞는 옷이 아니었다. 100%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다. 수비 조직력도 흔들렸고 장현수 본인도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왼쪽 풀백의 경우 유럽에서 활약 중인 박주호(도르트문트), 윤석영(브뢴비), 김진수(호펜하임)가 동반 부진에 빠지면서 ‘품귀현상’이 일어났다. 오재석(감바 오사카)이 가장 많은 3경기에 나섰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결국 오재석은 우즈베키스탄전에 부름을 받지 못했다.

월드컵 최종예선은 내년 3월에 재개된다. 앞으로 약 4개월이라는 시간이 남았다. 이 시간 동안 가장 중요한 것은 확실한 주전 수비수를 정하고 조직력을 가다듬는 일이 될 전망이다. 지금의 수비력으로는 월드컵 본선에 나가더라도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없다.

이석무

기사제공 이데일리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