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뉴스/이슈

朴대통령, 탄핵발의 前 대국민 호소 메시지 내나

난라다리 0

AKR20161125065300001_01_i_99_20161125115008.jpg?type=w540

 

 

3차 대국민담화 또는 대통령 주재 회의 가능성

탄핵안·檢수사 지켜본 뒤 '공모 혐의' 해명할듯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강건택 안용수 기자 = '최순실 게이트'로 사면초가에 몰린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 탄핵소추안 발의에 앞서 다시 한 번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회 상황을 주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담화를 해야 하는 시점이 언제인지, 탄핵 시점이나 그 전에든 해야 하는 건 아닌지 그런 고민을 청와대가 종합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2차 대국민 담화를 통해 최순실 씨 국정농단 의혹에 대해 사과하고 검찰과 특검 수사를 수용하겠다고 밝힌 후 3주일 동안 침묵을 지키고 있다.

지난달 25일 1차 대국민 담화와 2차 담화의 간격이 열흘에 불과했다는 점과 비교하면 침묵의 기간이 더욱 길어진 것이다.

그 사이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나 수석비서관 회의 등의 공식 일정을 잡지 않았다는 점에서 사실상 3주 동안 '메시지 공백' 상태였다고 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이 마지막으로 주재한 공식 회의는 지난달 20일 수석비서관 회의다.

이런 가운데 검찰이 박 대통령을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과 모금 등의 과정과 관련한 직권남용 및 강요 혐의와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의 공동정범으로 입건, 이런 범죄혐의에 대해 스스로 해명해야 할 필요성이 커진 상태다.

특히 야 3당이 검찰의 수사결과를 토대로 다음달 9일까지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안 처리를 추진 중이어서 그 전에 박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주장이 청와대를 비롯한 친박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친박계 의원은 "대통령이 여야에 간절하게 무엇을 요청해야 할지, 언론을 통해서 어떤 메시지를 밝혀야 하는지 등에 대한 나름의 고민이 있다"면서 "국민 앞에 너무 안 나서고 입장표명을 안 하는 것도 이상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동안 검찰에 '수사 가이드라인을 준다'는 비판을 의식해 해명을 자제해 왔으나, 늦어도 내달 초까지 특별검사가 임명되면 검찰 수사는 자동으로 막을 내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탄핵안 발의 시점과 검찰 수사 종료가 맞아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게다가 이날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역대 최저인 4%까지 떨어져 여론 수습 차원에서라도 공개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검찰 수사가 끝나고 탄핵안 표결을 앞두는 내달 초 무렵 3차 대국민담화 등의 자리를 마련해 자신을 향해 제기된 범죄혐의를 소명하고, 낮은 자세로 국정에 임하겠다는 뜻을 호소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곧이어 시작될 특검 수사를 앞두고 구체적인 해명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어, 대국민 담화나 기자회견보다는 수석비서관 회의나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자연스럽게 간략한 입장을 밝힐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여권 내에선 입장 발표 시기는 야당에서 발의하는 탄핵안 내용을 검토하고, 내달 5일 청와대에 대한 국정조사 청문회까지 지켜본 뒤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 , , , , , , , , , , , , , , , ,

0 Comments
번호 제목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