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유머포럼
  유모포럼 게시판은 글작성시 포인트 500점을 드립니다. (댓글 100점)   

서울마을버스 "내년 1월 1일 대중교통 환승 체계 탈퇴"

짜이언티 0 1 0 0

a6226c4c038c14277d455900cfefebc5_1758514178_9511.webp
 

김용승 서울시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서울마을버스조합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중교통 환승통합 합의서' 협약 해지 공문을 서울시와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4년 7월 서울시 마을버스가 서울시·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체결한 '대중교통 환승 합의서'에서 탈퇴하기 위해선 협약 유효기간을 연장하지 않고 환승 합의서를 해지한다는 사실을 양 기관에 알려야 한다고 명시한 조항에 따른 절차다.

 

만약 서울시 마을버스 조합 산하 140개 운수업체의 1600여대 전 차량이 내년부터 서울시 대중교통 환승제도에서 탈퇴하게 된다면 마을버스 탑승객은 지하철, 시내버스와의 환승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며 이용 시 별도로 1200원의 마을버스 요금을 납부해야 한다.

 

조합은 "서울시 요청에 의해 환승제도에 동참하게 됐고 환승으로 인해 발생되는 환승손실금은 서울시가 당연히 보전해야함에도 불구 시는 극히 제한적인 규모로 일부 업체에 대해서만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며 "환승으로 인한 누적 손실금이 1조 원을 상회하는 실정"이라고 했다.

 

민간 업체인 마을버스는 2004년 7월 서울시가 추진한 대중교통 환승 정책에 동참했다. 이에 따라 마을버스 회사는 승객이 시내버스나 지하철 등 다른 교통수단으로 환승할 경우 마을버스 승객이 지불한 요금(현재 1200원 기준) 중 600원만 정산받게 됐다.

 

조합에 따르면 2004년 7월부터 발생한 환승손실금의 누계 합계액은 1조 원을 넘길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 9년간 환승손실금 합계액은 9000억 원에 달한다. 2017년 이후부터 올해 7월까지 서울시 지원액을 제외한 누적 마을버스 환승손실금은 5846억 원가량이다.

 

조합은 "대중교통 환승정책을 시행한 2004년 7월 이전에는 평균 2~3년 주기로 요금 인상을 추진했다"며 "환승제 시행 이후부터는 5~6년 주기로 늘면서 대부분 마을버스 회사가 많은 적자를 지게 됐다"고 밝혔다.

 

.. 후략 ..

 

서울마을버스 "내년 1월 1일 대중교통 환승 체계 탈퇴"

0
0
0 Comments
포토 제목
Category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