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27일 KISA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에 제출한 'SKT 해킹 사건 경과'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해킹 피해 사실을 신고한 시점은 지난 20일 오후 4시 46분이고 사건 인지 시점은 이보다 약 한 시간 앞선 오후 3시 30분으로 기록됐다.
SK텔레콤은 18일 오후 6시 9분 의도치 않게 사내 시스템 내 데이터가 움직였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했고 같은 날 오후 11시 20분 악성코드를 발견해 해킹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을 보고 체계를 통해 내부에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험 SK텔레콤이 해킹 사실을 인지한 시점은 18일 오후 11시 20분인데, KISA는 이를 20일 오후 3시 30분이라고 40시간 지난 시점으로 기록한 것이다. KISA는 최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서 "해킹 신고 관련 인터뷰 과정에서 사건 인지 시간에 대한 설명 후 SKT에서 인지 시간을 변경했다"고 밝혔지만, SK텔레콤은 사건 인지 시점을 18일 밤으로 정상 신고했고 이후 변경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KISA 측은 "SK텔레콤의 해킹 신고를 접수하는 과정에서 회사 보안 책임자가 신고하자고 결정한 시점을 사고 인지 시점으로 보고 사건 접수 실무자가 시간을 정정한 것"이라며 "일종의 미스 커뮤니케이션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최 의원은 "SK텔레콤이 18일 밤 해킹을 인지하고 상부 보고한 것이 명백한 데도 책임자가 신고를 결정한 시점이 사고 시점이라며 고쳐준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SK텔레콤이 침해 사고 발생 때 이를 알게 된 때부터 24시간 이내에 신고하도록 한 규정을 어기자 알아서 무마해주려 한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KISA가 사건 접수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행위를 한 것뿐 아니라, 이 사건의 심각성에 비해 더딘 대응을 했다고도 비판했다. KISA가 SK텔레콤에 침해 사고 확인을 위한 자료 보전·문서 제출을 공문으로 요청한 시점은 21일 오후 2시 6분으로 신고 접수 21시간여가 지나고 나서였다.
특히 현장 상황 파악과 대응 방안 논의를 위해 KISA가 전문가를 파견한 것은 이보다 6시간이 지난 21일 오후 8시로 신고 접수 28시간 만이었다. 심지어 이마저도 실제 서버 해킹이 일어난 분당센터가 아닌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였는데, KISA는 이에 대해 원격으로도 상황 파악이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뿐만 아니라 KISA는 윤석열 정부 검찰 출신 '낙하산' 논란에 휩싸여 있다. 이상중 KISA 원장은 KISA의 설립 목적인 '인터넷 진흥'과 큰 관련이 없는 대검찰청 수사관 출신이다. 역대 원장들이 정권의 변화와 관계없이 최소한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인사들이었는데 반해 검찰 수사관 출신의 이상중 원장 취임은 윤석열 정부의 깜짝 발탁으로밖에 볼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 정동영 의원실(전북 전주시병)에서 확인한 자료를 보면 대검찰청과 이상중 원장의 마지막 근무처인 서울중앙지검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상중 원장의 근무기간이 겹쳐지고, 또 하나 중요한 것은 2012년 대선에서 불거진 국정원 여론조작 사건을 수사한 2013년에 윤석열 대통령은 ‘국정원 여론조작사건’ 특별수사팀장이었으며, 이상중 원장은 "'국정원 댓글조작 사건' 수사는 자신이 직접 수집한 정보에 의해 착수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원장이 윤 전 대통령의 측근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 원장은 취임 직후에 페이스북을 닫았다가 지난해 1월 28일 다시 재개했다. 지금도 여전히 1월 28일 이전의 게시글은 잠겨 있다. 다만 일부 이용자가 캡처해 지적한 내용에 따르면 이 원장은 과거 이재명 대표 구속을 주장하는 현수막 앞에서 인증사진을 찍어 올리고 "XX이 풍년이다"는 제목으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단식을 폄하하는 내용의 글을 올리기도 했다. 정치적 중립성을 지켜야 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원장 취임 직후에 문제가 될 수 있는 페이스북 글을 모두 닫은 것으로 짐작된다.
이에 관해 정동영 의원은 지난해 10월 "검찰 수사관 출신을 인터넷진흥원장으로 임명한 것은 김대남 대통령실 전 행정관이 SGI서울보증보험 상임감사에 임명된 케이스와 유사하다"고 비판했다. 특히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김홍일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국정원 2인자인 기조실장에 검찰 특수통 부장검사 임명 등 해당 기관의 전문성과는 무관한 검찰 출신 인사들을 주요 감찰기관에 임명한 것은 집안 식구 챙기기와 감찰기관을 장악하기 위한 이중의 노림수"라고 질타한 바 있다.
.. 후략 ..
![]() |
![]() |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