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기자]
네, 밤이 되면서 제 뒤로 보이는 지리산은 적막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낮부터 시작된 돌풍은 강해졌다, 약해졌다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350여 명의 진화인력은 지금도 곳곳에서 잔불 정리 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오늘 오후 1시, 산림청은 '산청,하동 산불 주불을 진화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산불이 처음 발생한 지난 21일 오후 3시28분 이후 꼬박 213시간 만입니다.
한 시간쯤 전부터 의성군 산불로 통제됐던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 나들목에서 청송나들목 구간 통행도 재개됐습니다.
이번 산청 산불로 진화대원 3명과 창녕군 공무원 한 명이 불을 끄다 목숨을 잃었고, 10명이 다쳤습니다.
2천158명이 대피했고, 집이 불에 탄 이재민들은 여전히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확인된 산불영향구역은 1,858헥타르인데 정확한 피해 면적은 이후 조사를 통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주불은 진화됐지만 산청과 하동에 건조주의보가 발효됐고, 강한 바람도 불고 있어 재발화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건 아닙니다.
지리산국립공원 구역의 경우 많게는 1미터가량 낙엽층이 쌓여 있어 헬기가 쏟아 붇는 물이 제대로 스며들지 않아 산불이 꺼졌다 되살아났다를 반복했는데요.
만의 하나 불씨가 바람을 타고 다시 살아날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습니다.
경상남도가 350명의 인력과 헬기 40대, 진화차 79대를 배치해 잔불 정리 작업을 이어갑니다.
또 재발화 감시를 위해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하고, 열화상 드론 등으로 모니터링도 계속합니다.
잔불 정리에만 5일에서 열흘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 후략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701245_36799.html
![]() |
![]() |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