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유머포럼
  유모포럼 게시판은 글작성시 포인트 500점을 드립니다. (댓글 100점)   

매년 100조씩 느는 빚.. 희망 버린 자영업자들

바디머쉰 0 1 0 0

900afaa375d09c64d6f3d2529d90b8bb_1739717317_8293.webp
 

[리포트]

서울 용산의 한 음식점.

 

비슷한 처지의 네 사람이 모였습니다.

 

[식당 주인]

"장사들이 잘 돼야 안 추운데 장사들이 안 돼서 추워."

 

용산전자상가에서 20년 가까이 장사해온 '사장님'들인데, 지난해 티몬·위메프 사태가 터지면서 300억 원 넘는 빚더미에 올라앉았습니다.

 

[A 전자기기 업체 대표]

"(티몬·위메프 사태로) 20년 동안 해왔던 거를 한 번에 다 앗아갔네."

 

정부가 1조 6천억 원,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발표할 때만 해도 고통의 긴 터널이 끝날 것만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누군가에겐 그림의 떡이었습니다.

 

[B 전자기기 업체 대표]

"상환 능력이 안 된대. 빚이 많은데, '네가 이 돈 받아서 갚을 능력이 안 돼'"

 

[A 전자기기 업체 대표]

"그거를 이제 '(정부) 지원'이라고 표현하면 안 되는 거예요."

 

그 사이 물가는 더 오르고 소비는 더 가라앉았습니다.

 

온라인 판매망에 대한 불신까지 겹쳐 매출은 70%나 곤두박질쳤습니다.

 

결국, 폐업까지 고려해야 할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게 화도 나지 않은 이유는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맞아.>"

 

아예 폐업해 버린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는 역대 최대치를 넘어섰습니다.

 

어떻게 든 버텨보려던 소상공인들이 퇴직금과 같은 '노란우산 공제금'을 담보로 대출을 신청한 규모는 9조 원에 이릅니다.

 

코로나 이후 빚으로 버텨왔던 소상공인들에게 찾아온 물가 상승, 그리고 지난 연말을 강타한 계엄 사태.

 

연이은 악재에 소상공인들은 더 버틸 여력도 없어 보입니다.

 

[허준영/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1년에 자영업 부문의 빚이 100조씩 늘고 있거든요. '퇴로가 없었다'는 얘기입니다. 떠날 수 있는 분들은 떠냐야 하고… 결국 이것은 재정이 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후략 ..

 

https://imnews.imbc.com/replay/2025/nwdesk/article/6687173_36799.html

0
0
0 Comments
포토 제목
Category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