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14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통령실은 경찰청에 최근 승진심사위원회 일정을 통보했다. 19일 경무관 승진심사위원회에 이어 20일 승진 인사를 발표하고, 이후 순차적으로 총경 등의 인사를 하는 수순이다. 경무관은 경찰 내 치안총감·치안정감·치안감 다음 계급이다. 시·도경찰청 차장, 서울·부산·경기·인천 등 경찰청 부장, 경찰청 심의관 등으로 근무하는 핵심 간부 보직이다.
통상 경찰 인사는 늦어도 1월 말 진행되지만, '12·3 불법계엄' 탓에 크게 밀렸다. 이에 경찰들은 인사 소식을 기다렸는데 정작 경무관급 인사 소식은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한 간부급 경찰은 "지금 인사를 하는 게 맞는 건지 모르겠다"며 "결국 윤석열 정부 사람을 마지막까지 심어 놓고 나가겠다는 것 아니냐"고 날을 세웠다.
이번 경무관 승진 인사는 '윤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알려진 이원모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 주도한다는 말이 파다하다. 이 비서관은 검사 출신으로 2022년 8월 윤 대통령의 대선캠프 법률팀에 합류했고, 대통령실 초대 인사비서관을 지냈다. 22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경기 용인갑에 전략공천 받았으나 낙선했다. 이후 5월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비서관으로 임명됐다.
이에 승진심사위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치안정감(위원장)과 치안감(위원)들도 난감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의중에 따라 인사 판이 짜여 있는 만큼 승진심사위는 사실상 '거수기'나 다름없는데, 승진 결과에 대해 내부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데다 자칫 수사 대상까지 될 수 있는 등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경찰공무원 승진임용 규정에 따르면, 경찰은 객관적인 승진 심사를 위해 복수의 심사위원회를 구성한다. 이를 위해선 2명의 치안정감을 위원장으로 각각 지정해야 한다. 현재 치안정감은 임기가 보장된 국가수사본부장을 제외하면 경찰청 차장, 서울·부산·경기남부·인천경찰청장, 경찰대학장 등 6명밖에 없다. 이 중 이호영 경찰청 차장은 현재 경찰청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고 김봉식 서울청장은 내란 혐의로 구속기소됐다. 김준영 경기남부청장도 계엄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경찰을 보낸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결국 부산·인천청장·경찰대학장 중 2명이 위원장을 맡아야 하는 상황이다.
.. 후략 ..
![]() |
![]() |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