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유머포럼
  유모포럼 게시판은 글작성시 포인트 500점을 드립니다. (댓글 100점)   

월급 2.8% 느는 동안 물가 3.6% 올라.. 금융위기 이후 최대 격차

지똥철 0 1 0 0

bdab97e2e294a91a1003af4a656cdd07_1738212253_3236.webp

 

근로자 세금 부담은 소폭 감소했지만, 혜택은 주로 최상위 소득자에 돌아갔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2023년(귀속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천332만원이었다.

 

4천213만원이었던 1년 전과 비교하면 2.8%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가 본격화 한 2020년(2.3%)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근로소득 증가율은 2021년 5.1%까지 확대됐다가 2022년(4.7%)에 이어 2023년까지 2년 연속 둔화했다.

 

2.8%의 증가율은 최근 10년간 평균 증가율(3.6%)보다도 낮다.

 

근로자 월급이 '찔끔' 느는 동안 물가는 큰 폭 상승을 이어갔다.

 

2023년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3.6% 상승했다. 2022년 5.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데 이어 2년 연속 큰 폭으로 올랐다.

 

물가보다 월급이 적게 오르면서 근로소득과 소비자물가 간의 상승률 차이는 -0.8%포인트(p)를 기록했다. 2022년(-0.4%p)에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다.

 

근로소득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밑돈 것은 2009년(-2.0%) 이후 2022년이 처음이고, 이후 차이가 더 커졌다.

 

2023년 근로소득자의 전체 세 부담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국회와 정부는 서민·중산층 세 부담 완화를 위해 5천만원 이하 하위 2개 구간의 과세표준을 상향 조정하는 등 세법을 개정했다.

 

이에 따라 2023년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428만원으로 전년 대비 6만원(-1.4%) 감소했다.

 

다만 세 부담 완화 효과는 중·하위 소득자보다는 최상위 소득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 후략 ..

 

월급 2.8% 느는 동안 물가 3.6% 올라…금융위기 이후 최대 격차

0
0
0 Comments
포토 제목
Category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