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이 가운데 의성 등 경북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의 잠정 피해면적만 9만9289㏊에 이른다. 시군별로는 최초 산불이 발화한 의성이 2만8853㏊로 가장 많은 산림 피해를 입었고, 안동 2만6709㏊·청송 1만665㏊·영덕 1만6208㏊·영양 6864㏊로 잠정 집계됐다.
이번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산림당국은 앞서 경북지역 산불영향구역을 약 4만8000㏊로 추산했었다. 산불영향구역 안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 면적보다 2배 이상 넓은 지역이 피해를 입은 것이다.
당초 산림 피해가 축소 내지는 과소 평가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산림당국은 진화 작업을 위해 추산하는 산불영향구역과 피해면적은 전혀 다른 개념임을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산불영향구역은 산불 발생 시 진화 전략 수립을 위해 헬기·드론영상과 지상관측 등을 통해 파악한 화선의 경계를 표시한 구역을 말한다. 산불 진화가 완료되면 피해 복구를 위해 현장조사 등을 거쳐 피해가 발생한 산림 면적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게 실제 피해면적이 된다.
다만 그동안 통상적으로 진화 과정에서 추산한 산불영향구역 내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했던 것과 달리 이번 경북지역 산불은 빠른 확산 과정에서 이미 불길이 지나가 영향구역에서 제외된 곳이 있었다. 또 기상조건 등으로 헬기·드론영상에 잡히지 않은 사각지대가 발생해 영향구역과 실제 피해면적 차이가 크게 발생했다는 게 산림당국의 설명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정책국장은 “산불영향구역은 진화를 위한 것으로 산림복구를 위한 현장조사를 통해 파악된 피해면적과는 활용 목적과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다”며 “이번 산불의 경우 극한기상으로 인한 태풍급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영향구역 파악시 주간에는 헬기영상, 야간에는 드론영상을 주로 활용하는데 산불 발생 지역에 연무가 많고 강풍이 불어 헬기나 드론을 띄울 수 없거나 연무로 잘 관측이 안돼 화선 파악이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며 “이번 산불을 계기로 고정익 항공기를 화선 파악 수단으로 활용하는 등 시스템을 보완·발전시켜 나가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에 경남 산청·하동 산불의 실제 피해면적도 당초 추산한 영향구역 면적과는 차이가 있었다. 산청·하동 산불영향구역은 1858㏊로 추산됐지만, 조사 결과 잠정 피해면적은 3397㏊로 늘었다. 여기에 비슷한 시기 발생한 울산 울주 산불 피해면적 1190㏊를 합하면 이번 영남 대형산불의 잠정 피해면적은 약 10만4000㏊에 달한다.
.. 후략 ..
![]() |
![]() | |
0
| 0
|